경상북도 경주 한옥 건물, 천장 포설로 안정적인 랜선설치 공사 사례입니다.
전통미를 간직한 경주 한옥 건물 내에서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자, 고객님께서 유선 랜선 설치를 요청해주셨습니다. 기존 무선 네트워크로는 업무 중 간헐적인 끊김 현상이 발생했고, 내부 목조 구조의 특성상 공유기 신호가 벽을 제대로 관통하지 못해 접속 품질이 불안정한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이번 건물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물과 달리 천장 구조가 개방형 목재로 되어 있고, 내부 인테리어는 전통 소재가 대부분이라 외부 배선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한 현장이었습니다.
시공 전, 저희는 먼저 목조 지붕 아래 천장 구조를 면밀히 확인한 뒤, 기존 전기선과 겹치지 않도록 별도의 라인으로 랜선을 포설하는 동선을 계획했습니다. 목재 골조 사이로 배선이 가능한 구간을 확보하고, 전통 한지 마감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드릴 포인트도 최소화하였습니다. 랜선은 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등급을 사용하였고, 천장 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숨겨지는 구조로 정리하였습니다.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은 목재 몰딩과 유사한 컬러의 몰드 자재로 마감하여 전통 건축물의 미관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도 기능적으로 완성도 높은 시공을 진행했습니다. 시공 후, 각 연결 포인트에서 인터넷 속도 및 안정성을 테스트하여 설정까지 마무리해드렸습니다.
작업 완료 후 고객님은 건물 외형이나 내부 인테리어에 영향 없이 인터넷도 안정적으로 잘 된다며 만족해주셨고, 추가로 한옥 옆동 별채에도 향후 시공을 요청주셨습니다.
경주를 포함한 전통 건축물, 문화재 보존 지역에서도 저희는 구조를 고려한 맞춤형 네트워크 시공을 진행해드리고 있습니다. 한옥처럼 배선이 어려운 공간이라도, 미관과 기능을 모두 만족하는 설치를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안녕하세요, IP119입니다.
이번에는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사무실 현장에서
기존 자리 및 케이블 구조를 철거한 뒤 새로운 회선을
닥트 마감 방식으로 정리한 랜공사 작업 사례를 소개드립니다.
현장은 전체 자리가 재배치된 상태였고, 이전에 사용하던
랜선 및 전기선이 어지럽게 남아 있어 네트워크 품질 저하와
공간 활용에 불편이 발생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는 사무실 내부 전 회선을 전면 철거한 뒤
각 자리의 새 위치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설정하고,
총 24회선을 UTP CAT.6 케이블로 재포설했습니다.
천장과 벽면, 바닥 구조를 고려해 선로를 최적화했고,
각 회선은 외부 노출을 줄이기 위해 PVC 닥트 자재를
사용하여 구간별로 안정적으로 고정 및 정리했습니다.
닥트는 흰색 사각형 구조로 선정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구성했으며, 선이 교차되거나 겹치는 구간은 분리 공간을
따로 마련하여 전기·통신 간 간섭을 방지했습니다.
특히 책상 하부는 수평 닥트와 수직 폴대를 연결하여
각 포인트까지 선을 안정적으로 인입하고, 장비와 연결되는
아울렛 단자 부분은 깔끔한 몰딩 마감으로 마무리했습니다.
모든 회선은 통신실 내부에 마련된 랙 장비로 집결되며,
허브와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안정적으로
분산되도록 구조를 재편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각 자리에서 인터넷 연결 테스트 및
속도 측정을 실시해 문제없이 모든 포인트에서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개포동 사무실 작업은 기존 구조 철거부터
신규 회선 포설, 닥트 마감까지 포함된
전면적인 네트워크 개선 사례였습니다.
#개포동랜공사 #사무실랜공사 #개포동사무실랜공사 #랜공사 #사무실자리철거